'부산 재건의 어두운 비밀' 부랑인 강제노역과 약속의 배신
부산시는 금성개척단을 통해 부랑인들을 동래군 구포 금정산성 일대에 집단 수용하고 농지를 개간하는 계획을 세웠다. 초기 인원 170여 명이 300명까지 늘어나며 노역에 동원되었지만, 이들이 일군 땅은 1977년 민간 기업가에게 팔려나갔다. 이에 많은 개척단원들이 자신들이 개간한 땅에서 쫓겨났고, 국가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재건 사업은 금성개척단에서 그치지 않고, 부산시는 1964년 사하구 신평동 일대 갈대밭을 농지로 개간하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도 어린아이들까지 강제노역에 시달렸고, 약속된 자립의 기회는 주어지지 않았다. 불법 매립된 땅은 결국 공업단지로 전환되었고, 수용인들은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했다.
당시 부산시장은 부랑아들을 모아 자립 터전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추진했지만, 현실은 달랐다. 영화숙이 세운 재생원은 무의탁 부랑인들을 수용하고 농지를 개간했으나, 법적 허가 없이 진행된 사업이었다. 결과적으로 많은 부랑인들이 자신들이 일군 땅에서 쫓겨나고 국가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부산시의 재건 사업은 많은 부랑인들에게 희망 대신 절망을 안겨주었다. 금성개척단과 재생원에서 일한 사람들은 약속된 자립 터전을 얻지 못하고 흩어졌고, 국가의 재건 정책은 실패로 끝났다. 이 과정에서 강제노역과 인권 침해가 일어났으며, 국가의 무책임한 행정으로 많은 이들이 고통을 겪었다.
[ kukmintimes.com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